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

손가락저림증상 원인과 해결법은?

쿵따리 2020. 11. 4. 21:3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손가락저림증상에관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평소와 같은 평범한 일상을 보내다가 종종 손가락 전체나 특정 부위가 저리는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은근히 많습니다. 손가락저림증상은 다양한 증상과 원인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에관한 정보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손가락이 저리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보통은 단순히 혈액순환의 문제로 보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손가락저림증상은 혈액순환보다는 말초신경 쪽에 더 연관이 많다고 합니다. 또 별 이상 없는데 신경이 예민해서 저리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기도합니다. 주로 손과 손목을 많이 쓰는 가정주부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터널 증후군 혹은 다발성 말초 신경염 등과 연관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경추 '드스크'에 문제가 손가락저림증상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흔한 현상임에도 원인이 다양하여 증상이 심하거나 세세히 알고싶다면 신경과에 가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구별법

보통 손가락저림증상이 느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가장 의심하곤 합니다. 하지만 위에 말했듯 손가락저림증상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따라서 손가락이 저린다고 전부 손목터널증후군인 것은 아닙니다. 손가락저림증상이 나타날 때 손목터널증후군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통증 여부입니다. 일반적으로 손목터널 증후군은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의 통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엄지와 둘째, 셋째 손가락저림증상이 나타난다면 대표적인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입니다. 이러한 손가락저림증상은 주로 야간에 통증이 더 심하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종종 손목에 힘이 빠져 가벼운 물건도 자주 떨어뜨리거나 열쇠를 돌리는 것조차 힘든 경우까지 온다면 늦기전에 어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다른 증상으로는 손의 감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때로는 손이 무감각 했다가 타는 듯한 통증이 일어나기도 하는 등 불규칙한 경우입니다. 주로 증상이 심해질수록 손에 감각이 사라지며 정교한 작업이 불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원인

손가락저림증상이 계속 일어난다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하루빨리 원인을 찾고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인 몇가지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정으로 유합된 원위 요골이 골절되었거나 부종이 있는 경우, 가사노동을 반복해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경우, 컴퓨터와 핸드폰의 잦은 사용이나 신경이 눌리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주로 손목에 부담이 갈 정도로 무리를 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드물게 관절염이나 통풍의 합병증으로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법은 다행히도 수술을 하지 않는 비수술적 치료를 권장하는 편입니다. 봉약침부터 시작해 화침, 약침, 뜸, 추나요법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가 손목에 부담이 안 가도록 주의하는 것입니다. 키보드를 사용할 때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지지대를 이용하고 핸드폰을 하거나 잠을 잘 때 습관적으로 손묵을 굽힌 채 있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손가락 운동부터 시작해 혈자리 마사지, 손바닥 운동 등 평소에 손목건강을 위한 운동을 자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근관 증후군

손가락저림증상은 손목터널증후군 뿐만아니라 수근관 증후군일 수도 있습니다. 수근관 증후군이란 손목 안쪽 통로가 좁아져 신경에 이상이 생기는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수근관 단면의 감소라고 하네요. 주로 여성, 비만, 당뇨병 환자,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은 손목터널증후군과 매우 비슷합니다. 주로 엄지,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서 통증과 저림 현상이 일어납니다. 또한, 이상감각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손과 손목에 활동을 주면 잠시 가라앉기도 한다고 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운동 마비 증세가 나타니기고 한다고 하니 가볍게 볼만한 증후군은 아닙니다.

 

 

수근관 증후군 치료법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법은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의 예로는 손목에 부담을 주는 활동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의 경우엔 수근 인대를 잘라 수근관을 넓히는 유리술이라는 수술이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에 보다 결과가 더 좋아 초기 수술로 많이 선호받는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