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골반벌어짐에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우리 몸 속 골반은 장골이라고 불리는 엉덩뼈와 좌골이라고 불리는 궁둥뼈, 치골인 두덩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장을 보호하며 다리의 관절이 되기도 합니다. 골반은 척추는 물론 양 다리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다리에 무게를 전달하기에 걷기 활동에있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렇듯 골반은 우리 몸에서 많은 역할을 하기에 골반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척추관절을 넘어 몸 속 장기에까지 안 좋은 영향이 갈 수 있습니다.
골반벌어짐 증상은?
골반벌어짐의 증상에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골반벌어짐이 일어나면 발목을 자주 삐끗하며 많이 걸은 후에 유독 한쪽 다리만 피로감이 느껴지고 자주 붓습니다. 바지를 오래 입었을 때 한쪽만 유독 닳아있거나 신발의 뒷굽을 살폈을 때 한쪽만 닳아있는 것도 대표적인 골반벌어짐의 증상입니다. 이외에도 서있거나 누웠을 때 엉덩이의 높이가 다르게 느껴지거나 다리의 길이나 각도가 서로 다를 때도 골반벌어짐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골반벌어짐 원인은?
골반벌어짐은 앉아있거나 서있을 때 무게중심이 한 쪽으로만 가거나 다리를 꼬는 습관 등의 생활습관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리를 한쪽으로만 모아 앉거나 뒷주머니에 물건을 넣어다니는 것도 골반벌어짐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골반벌어짐이 한 번 일어나고나면 체형이 변하는것은 물론 허리의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앉아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로인해 조금이라도 허리와 골반의 건강을 챙기고자 좋은 의자를 고르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골반벌어짐이 이미 일어난 후에는 아무리 좋은 의자를 쓰더라도 치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미리 골반건강을 챙기고 좋은 습관을 만들어야하는 이유입니다.
이외에도 출산으로인해 몸이 틀어지면서 골반벌어짐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출산 직후의 산모는 온 몸이 쉽게 틀어지지만 그중에서도 골반은 가장 위험합니다. 출산 후 골반벌어짐의 경우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는 몸의 회복과 더불어 균형을 맞춰감으로서 허리의 통증과 틀어진 몸을 다시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골반벌어짐 치료법은?
골번벌어짐에 좋은 치료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추나요법이 있습니다. 추나란 한의학적인 치료 방법을 말합니다. 손이나 신체를 통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보조 기구를 통해 치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주로 골격의 위치를 바로잡는데에 효능이 있습니다. 추나요법은 벌어진 골반의 근육을 이완시켜줌으로서 긴장을 풀어주고 통증을 최소화 시켜줍니다. 또한, 틀어진 골반이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으로는 골반벌어짐에 좋은 간단한 스트레칭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트레칭의 방법은 첫째로 의자에 앉은 후 발목을 다른 쪽 무릎 위애 얹습니다. 이후 상체를 무리가가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앞으로 숙입니다. 이 스트레칭은 넓적다리부터 시작해 엉덩이 주변의 뭉친 근육을 이완시켜줍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다음으로 골반벌어짐에 좋은 승마자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로 한쪽 무릎을 구부린 후 반대편 다리를 뒤로 쭉 뻗습니다. 이후 엉덩이를 살짝 내린 후 다리를 고정한 채로 골반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때 상체를 구부리지 않도록 주위하며 10초정도의 시간동안 동작을 유지합니다. 반대쪽 다리도 마찬가지로 똑같이 해주면 끝입니다.
코브라자세도 골반벌어짐에 좋은 스트레칭입니다. 바닥에 엎드린 후 상체를 무리하지 않은 선에서 서서히 들어올리는 동작입니다. 중요한 것은 발등을 바닥에 고정시킨 후 양 팔이 가슴 바로 옆쪽에 위치하도록 해야합니다. 이 동작을 적어도 15초 이상은 해주면서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골반벌어짐을 위한 스트레칭으로는 트위스트 동작이 있습니다. 다리를 쭉 피고 앉은 후에 한쪽 다리를 반대편 다리 바로 아래로 넣습니다. 그 상태에서 곧게 핀 다리가 반대편 다리의 무릎 위로 오게 합니다. 벌어진 골반을 바로잡는다는 느낌으로 상체를 비트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 상체를 굽히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 > 질병 증상 Disease Sympt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검하수증 이런 합병증이 있다고? (0) | 2020.11.13 |
---|---|
청소년ADHD 우리가 몰랐던 사실 (0) | 2020.11.13 |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 제대로 알고있나요? (0) | 2020.11.12 |
수험생불면증 가장 중요한건? (0) | 2020.11.11 |
입마름병과 구강건조증 원인과 증상은? 1편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