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질병 증상 Disease Symptom

청소년ADHD 우리가 몰랐던 사실

쿵따리 2020. 11. 13. 16:29
반응형

 

청소년ADHD란?

청소년ADHD는 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의 약자로 주의산만함과 과잉행동 등의 증상이 일어나는 정신질환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며 이후 만성질환이 되기도 합니다.

 

 

청소년ADHD의 원인은?

청소년ADHD의 원인으로는 크게 유전적 요인과 신경학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나뉘게 됩니다. 유전적요인을 봤을 때 형제가 ADHD가 있을 경우 약 30%의 유전 확률이 있으며 부모에게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57% 이상의 유전 확률이 있다고 합니다. 신경학적 요인으로는 주로 언어를 유창하게 하거나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등의 활동에 관여를 하는 전두엽에 이상이 발생하여 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사회심리적 요인은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과 신리적인 방어기제 등 잘못된 환경으로인해 청소년ADHD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사회심리적 요인으로인해 청소년ADHD가 발병하는 확률은 매우 적은 편입니다.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청소년ADHD의 증상은?

청소년ADHD의 증상에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청소년ADHD에 걸리게되면 과잉행동이 나타나게 됩니다. 과잉행동이란 불필요한 움직임을 계속 하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등의 증상을 말합니다. 과잉행동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학업에 지장이 가는 것은 물론이며 일상생활을 제대로 영위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과잉행동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호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과잉행동 이외의 다른 증상들은 여전히 남아 있을 확률이 있습니다.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다음 청소년ADHD의 증상으로는 주의산만이 있습니다. 청소년ADHD 환자들은 작거나 사소한 자극에도 주의력을 쉽게 상실해버리고 맙니다. 이는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거나 학업이나 일에 쉽게 집중하지 못하고 한가지 일을 끝까지 해내는데에 어려움이 있는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청소년ADHD 환자들은 충동성을 많이 겪기도 합니다. 청소년ADHD에 걸리면 조금만 기다리면 되는 일에도 순간을 참지 못하고 원하는대로 움직여버리기 쉽습니다. 이로인해 물건을 잘 고장내거나 활동에 잘 참여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외에도 청소년ADHD는 언어활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거나 학습 장애를 겪는 등의 다양한 증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청소년ADHD 진단법은?

청소년ADHD의 진단은 주로 면담과 설문지 등을 통해 이뤄집니다. 평가척도 및 설문지는 크게 부모가 쓰는 아동행동조사표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가 있습니다. 그 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를 아래 사진에 첨부하오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해보세요.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청소년ADHD 치료법은?

청소년ADHD의 치료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약물 치료가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주로 아동에게 효과가 높습니다. 청소년ADHD의 다양한 치료법들 중에서 약물치료는 효과가 매우 좋은 편입니다. 다른 치료르는 인지/행동요법이 있습니다. 이 치료법은 청소년ADHD의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 주로 사용하며, 약물치료를 받지 않게될 때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인지행동치료는 약물치료와 병행할 때에 가장 시너지 효과가 큰 치료법입니다.

 

 

부모 혹은 가족과의 상담을 통해 청소년ADHD를 치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는 환자가 아동 혹은 청소년으로 가정의 돌봄과 적절한 가정환경이 필요한 시기이기에 꼭 필요합니다. 부모행동수정훈련 프로그램을 받는 경우도 있으며, 가정에서 환자가 꾸준하고 규칙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족들은 적절한 훈육과 양육 방법을 습득하게 됩니다.

 

 

청소년ADHD 치료를 위한 교육적 방법도 존재합니다. 이는 학교 교사들이 사용하는 행동 치료로 반응 대각법이나 토큰 경제법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외에도 사회기술 훈련도 있는데 이는 환자가 원활한 친구관계를 이루고 긍정적인 사회활동을 이뤄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정신치료는 환자의 우울증이나 낮은 자존감 등을 고치기위해 가해지는 치료를 의미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