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질병 증상 Disease Symptom

발달장애치료 고민되시나요?

쿵따리 2020. 11. 15. 22:53
반응형

 

오늘은 발달장애치료에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발달장애치료에 앞서 발달장애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발달장애는 나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발달의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장애를 뜻합니다. 발달장애의 판정은 발달 선별검사를통해 이루어지며 정해진 기준보다 25% 이상 발달이 안 이루어질 때를 발달장애라 합니다. 발달장애의 종류에는 전반적 발달 지연, 대운동, 미세운동과 인지, 언어, 사회성과 일상 생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문제가 보인다면 발달장애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발달장애치료는 원인에따라 치료법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의 원인은 생물학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나눠집니다. 생물학적인 요인으로는 미숙아, 염색체 이상, 저산소증, 출혈 등이 있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약물 중독, 부모의 잘못된 양육 등이 있습니다. 운동 발달 장애의 경우 말초신경 혹은 신경근과 관련된 질환이 있거나 정신 질환이 있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언어 발달의 경우 자폐증이나 정신 지체가 있을 경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영역에서의 발달 장애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운동, 언어, 심리 등등 다양한 영역에서 두루 장애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뇌가 기형인 상태이거나 염색체에 이상이 있을 경우, 자궁 내부가 감염되었을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환자에게 발달장애의 증상이 발견될 경우 즉시 발달장애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발달장애치료에 앞서 증상을 확인하는 것이 먼저인데요. 발달장애의 증상은 연령별로 다릅니다. 대운동의 발달에 장애가 있는 경우 100일에는 목을 가누지 못하게 됩니다. 이후 5개월에는 뒤집지를 못하게 되며 7개월에는 혼자 앉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9~10개월에는 주로 사물을 붙잡고도 제대로 서지를 못하며 15개월에는 걷지를 못하게 됩니다. 아이가 만으로 두 살이라면 계단을 오르내리는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세 살에는 한 발로는 오래 서 있을 수 없습니다. 만으로 네 살에는 한 발 뛰기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세 운동 발달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3개월부터 12개월 사이에는 손을 쥐고 펴거나 사물을 잡고 드는 데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18개월에는 옷을 벗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24개월에는 블록을 쌓는 등의 간단한 활동을 하지를 못합니다. 만으로 세 살에서 네 살에는 간단한 도형을 눈으로 보고도 잘 그려내지 못하게 됩니다.

 

 

발달장애치료를 받으로 자주오는 언어 발달의 증상은 지능의 발달과 관련성이 높습니다. 다만, 언어 발달의 경우 발달장애로인해 언어가 늦는 것인지 단순히 배움이 느린 것인지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언어 발달이 있는 경우에는 18개월의 경우 말보다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상황이 많습니다. 만으로 두 살에는 단순한 문장을 만들어내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만으로 세 살의 경우에는 한 문장도 제대로 언어로 표현해낼 수 없을 경우 발달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단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주로 소아청소년과나 신경분과에서 치료를 받게 됩니다. 발달장애치료를 위한 검사를 받을 때에는 한 시점에서의 발달 문제를 관찰하는 것보다 환자가 성장하는 동안 계속 발달의 이상을 관찰하고 검사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발달장애 검사로는 발달 선별검사가 있습니다. 이 검사는 부모가 아이를 관찰하며 얻은 정보가 참고되어 있습니다. '영유아 건강 검진'이라고 하여 보건복지부에서 받을 수 있는 발달 검사도 있습니다. 

 

 

발달장애치료는 발달장애의 원인이 다양한만큼 치료 방법이 원인질환에의해 많이 좌우됩니다. 발달장애치료는 발달장애를 겪는 아이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입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발달장애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발달장애로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합니다. 발달장애치료는 필요에 따라 이비인후과, 안과 등 다른 분야의 도움을 받아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