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하루의 피곤과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술은 너무 과하게 마실 경우 독이 되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드리 알코올치매가 자신과는 상관없는 병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알코을 분해 능력은 사람마다 다르며 그 말인 즉, 술을 마시는 누구에게라도 위험이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코올치매보다 노인성 치매가 당연히 더 먼저될 것이라 믿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지속된다면 반대로 노인성 치매보다 알코올치매가 먼저 올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열명 중 한명 꼴로 알코올치매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알코올치매란 알코올을 과하게 섭취함으로인해 발병하며 병입니다. 알코올치매에 걸리게되면 인지적 기능에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인지적 기능이 손상받고나면 정보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알코올은 뇌 속에 있는 신경 전달 물질이 원활히 분비되는 것을 방해합니다. 또한, 뇌 속 산소가 원활히 공급되는 것을 막습니다. 알코올 섭취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알코올치매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알코올치매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음주가 비타민B1을 부족하게 만들어 발병하는 경우도 있으며 술 자체의 독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알코올치매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 블랙아웃 현상이 있습니다. 블랙아웃 현상이란 술을 마시고 잠에든 후에 깨어나보면 전날의 모든 기억이 사라져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날의 모든 기억이 사라지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 기억이 사라지는 것도 블랙아웃 현상에 포함됩니다. 전자의 경우를 총괄적 블랙아웃이라고 하며 후자는 부분적 블랙아웃이라고 부릅니다. 블랙아웃 현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면 뇌 속의 해마에 이상이 생겼다는 증거입니다. 이는 알코올치매의 증상이자 알코올치매에 걸릴 확률을 높여줍니다.
블랙아웃 현상은 유전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족에게 알코올과 관련된 뇌질환이 있다면 블랙아웃 현상을 겪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알코올을 적게 섭취한다 하더라도 다른 이들보다 알코올로인한 뇌손상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알코올치매로 이어질 여지가 있기 때문에 만약 가족 중에 알코올 관련 뇌질환을 겪고 있는 분이 있거나 있었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평소에 기억을 잘 못해내거나 기억의 일부분을 자주 지어서 기억하게되는 등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눈이 원활히 움직이지 않고 걸을 때 자주 비틀거린다면 알코올치매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는 비타민의 결핍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음주는 비타민B1을 결핍하게 만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잦은 음주는 비타민B1의 결핍을 일으키고 알코올치매의 증상을 나타내게 합니다.
알코올치매의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금주를 해야만 합니다. 아무리 좋은 약을 먹고 병원에 자주 간다 하더라도 금주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좋은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따라서 힘들더라도 건강을 위해서는 음주와 결별을 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금연과 마찬가지로 금주는 그 과정이 매우 어렵고 고통스럽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노력만큼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외에도 비타민B1의 결핍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족한 비타민을 꾸준히 공급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는 치매를 일으키는 위험 요인들 중 하나로 과한 알코올의 섭취를 뽑았습니다. 꼭 알코올치매가 아니더라도 일반적으로 음주는 그 자체로 다른 종류의 치매를 일으킬 가능성을 약 3배 이상으로 높여준다고 합니다. 뇌세포는 한번 손상이 가해지면 다시 회복되기가 매우 힘듭니다. 또한, 노인이라면 뇌의 퇴화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기이기에 뇌세포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소량의 알코올일지라도 뇌에 독이 될 수도 있음을 알고 미리 금주하는 습관을 길러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알코올치매에관한 정보를 담은 포스팅이었습니다. 한국의 금주문화가 악명높은 편이지만 그래도 스스로의 건강을 챙기고 조절할 줄 아는 성인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 > 질병 증상 Disease Sympt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장애치료 고민되시나요? (0) | 2020.11.15 |
---|---|
소아난청, 인지능력에 영향을 준다고? (0) | 2020.11.14 |
흉막암, 석면 노출이 가장 큰 원인? (0) | 2020.11.14 |
아동틱장애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0) | 2020.11.14 |
안검하수증 이런 합병증이 있다고?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