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난청과 치매의 연관성
오늘은 소아난청에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소아난청에관해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전 난청의 위험성을 살펴봅시다. 최근 난청이 치매을 일으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고 합니다. 미국의 존스홉킨스라는 이름의 병원 연구진이 의 논문을 확인해보면 난청 환자의 인지능력 점수가 일반 사람에비해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연구에선 치매 발생률이 고도난청으로 갈수록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난청은 단순히 타인과의 소통이 어려운 것을 넘어 일상생활에 많은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소아난청이란?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외이, 중이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로인해 내이로 소리를 전달합니다. 이렇게 내이로 이동하게된 소리는 내이를 통해 뇌로 전달되게 됩니다. 소아난청은 외이, 중이, 내이에 이상이 생겨 작은 소리조차 제대로 들을 수 없어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소아난청은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분류됩니다. 전음성 난청은 외이 혹은 중이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감음성 난청이라고도 불리는 감각신경성 난청은 내이의 이상으로인해 발병하는 난청입니다. 외이와 중이 그리고 내이까지 모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혼합성 난청이라고 부릅니다.
소아난청의 원인은?
소아난청 중 외이 혹은 중이의 이상으로인해 발병하는 전음성 난청의 경우 삼출성 중이염과 만성 중이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음성 난청은 귀에 물이 들어간 것과같은 느낌을 받게되며 소리가 큰 경우에는 어느정도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반면, 감음성 난청의 경우 고름이 귀에서 나오는 증상이 있으며, 소리가 아무리 크다해도 소리를 분석하는 기관의 이상으로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이명이 들리는 증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소아난청 중 하나인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소음성 난청과 이독성 난청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음성 난청은 지나친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일어나며 이독성 난청은 약물의 사용으로 일어납니다. 소아난청의 원인으로는 외상부터 시작해 혈액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이 존재합니다.
소아난청 치료법은?
소아난청은 이렇듯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기에 치료법또한 다양합니다. 이로인해 소아난청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와의 세심한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원인 분석이 전제되어야만 합니다. 전음성 난청의 경우 수술이나 약물치료를 통해 원인이되는 질환을 치료함으로서 증상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보청기와같은 보조 기능을 가진 기계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소아난청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소아난청 예방법
소아난청을 예방하기 위해선 청력에 손상이 가해질 정도로 크고 시끄러운 소음에 아이가 장기간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이어폰을 자주 사용하거나 큰 소리로 귀에 꼽아 듣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 권장하는 이어폰과 헤드폰의 정도는 85db이니 참고하도록 합시다. 만약, 아이가 시끄러운 환경에 계속 있을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귀마개를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이외에도 아이가 담배 연기를 맡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담배뿐만아니라 담배 연기에도 미세혈관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흡연자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에게 중이염 발생 빈도가 높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소아난청의 원인이 되는 소아중이염은 상기도 감염으로인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손을 자주 씻고 상기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습관을 들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아이가 소아난청을 치료했다 하더라도 난청은 장기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난청이 소아에게만 일어나는 질환이 아닌 만큼 성인이 된 후에도 흡연을 가급적이면 하지 않고 청력 검사를 미리 해두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성인건강에 위협이되는 당뇨병과 고혈압 등의 질환이 후천적으로 청력을 손상시키기도 하므로 항상 건강을 관리하도록 해야합니다.
이상으로 소아난청과 관련된 포스팅이었습니다.
'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 > 질병 증상 Disease Sympt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코올치매 블랙아웃 현상이 의심된다면? (0) | 2020.11.15 |
---|---|
발달장애치료 고민되시나요? (0) | 2020.11.15 |
흉막암, 석면 노출이 가장 큰 원인? (0) | 2020.11.14 |
아동틱장애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0) | 2020.11.14 |
안검하수증 이런 합병증이 있다고?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