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health information/의학 약학 medical pharmacology

이마지루성피부염 이렇게 해결하세요.

쿵따리 2020. 11. 7. 20:00
반응형

 

오늘은 이마지루성피부염에관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지루성피부염은 피부 부위에서 일어나는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지루성 습진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지루성피부염은 주로 4~70세에 일어날 확률이 높으며 성인 남자에게서 발생하는 습진입니다.

 

 

원인은?

지루성피부염은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정신적으로 긴장을 하는 경우, 곰팡이균의 활동으로인한 경우, 가족력에의한 경우 등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보통은 성인기에 발생하는데 이는 피지선의 활동이 가장 높은 때가 바로 성인기이기 때문입니다. 지루성피부염은 효모균의 관섭으로 이루어지며 향진균제로인해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지루성피부염의 원인이 신경전달물질의 이상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데 이는 신경계 장애 환자에게서 질환이 잘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전쟁이 일어나는 경우 전투 중인 병사에게서 지루성피부염의 발생 빈도가 높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는 지루성피부염이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음주, 영양의 결핍 등의 이유로도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낮은 온도와 습도가 지루성피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증상

지루성피부염의 증상으로는 홍반, 딱지, 가려움증 등이 있으며 주로 코 주위와 겨드랑이, 회음부 등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주로 이마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제목이 이마지루성피부염인 이유도 그때문입니다.) 제각각의 모습을 띤 홍반성의 병벼에서 각질이 나타나며 각질은 건조하거나 습하고 끈적거리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지루성피부염이 심할 경우에는 진물이 흐르는 경우도 있으며 두깨가 큰 딱지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지루성피부염이 겨드랑이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주변의 피부로 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증상과 비슷한 모양을 가졌습니다. 귀에서 질환이 생긴 경우에는 외이도염으로 번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외이도에 가려움이 느껴지며 비늘이 생긴다면 지루성 피부염의 증상입니다. 이마지루성피부염의 경우 눈썹에서 비늘 혹은 홍반이 생기며 주위 피부가 발개지는 형상이 발생합니다. 

 

 

출처: 삼성서울병원 건강상식

 

치료

지루성피부염의 치료는 완벽한 치료법이 아직까지는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 질환의 치료는 완치보다는 증상의 완화가 주목적입니다. 만약 지루성피부염이 두피에 생겼을 경우에는 치료용 샴푸를 이용하여 샤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의 정도에따라 머리를 감는 횟수가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할 경우 하루에 한 번이 평균 횟수입니다. 만약 두피가 붉게 변할 정도로 심각하다면 부신피질호르몬제라는 약물을 발라야 합니다. 

 

 

만약 이차적으로 세균에 감연된 상황이라면 항생제 계통의 약을 이용합니다. 증상이 가장 심각할 때에는 부신피질호르몬제라고 불리는 성분이 들어간 내복약을 이용해 치료를 합니다. 지루성피부염은 재발가능성이 있기때문에 만약 완치가 되거나 질환이 약화되더라도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진균제크림은 지루성피부염의 원인이 곰팡이일 경우에 사용합니다.

 

 

주의해야할 점

지루성피부염에는 세척력이 약한 비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극이 약한 크림을 이용하며 알코올 성분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향지루성 샴푸를 사용할 경우 5분에서 10분 안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극에 민감한 질환인 만큼 스트레스와 음주 등을 피하고 머리에 자극을 주는 생활습관이 있다면 고치는 것이 좋습니다.

 

 

지루성피부염에 좋은 생활습관

마지막으로 지루성피부염에 좋은 생활습관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루성피부염을 위한 생활습관 첫번째는 세안을 할 때 차가운 물보다는 따뜻한 물로 하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피부에 자극이 가도록 거칠게 세안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두번째로 비타민 B,C가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지속적인 휴식과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이외에도 화장품의 사용을 안하거나 줄이는 것이 좋으며 세안 직후에는 건조해지지 않도록 성분이 착한 로션을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